본문 바로가기
포털사이트

뉴스스탠드 체제 이후의 언론사는?

by 수레바퀴 2012. 11. 7.

2012년 11월 7일자 기자협회보. 네이버 뉴스스탠드가 언론에 '득'이 되려면 뉴스의 혁신-경쟁의 혁신-문화의 혁신을 서두르는 수밖에 없다.


네이버 뉴스캐스트가 뉴스스탠드로 바뀌게 될 경우 언론사 특히 주류매체는 어떻게 될까? 일반적인 예상은 트래픽과 광고매출 하락이다. 이 부분에 대해 업계 안팎의 이견은 없다. 다른 후폭풍은 없을까? 


현 시점에서 전망하는 것은 성급할 수 있지만 몇 가지 전제해야 할 것들은 공유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마침 <기자협회보>와 인터뷰하면서 다음과 같은 이야기를 했다. 


뉴스스탠드가 안착할지는 미지수다. 뉴스 이용자들은 先 매체(브랜드) 결정 후 뉴스 소비를 무겁게 받아들일 가능성이 높다. 즉, 뉴스캐스트에 빠르게 적응한 것과는 전혀 다른 결과가 나올 수 있다. 다시 말해 네이버 주도형 인터넷(PC) 뉴스 소비가 종식될 수도 있다. 


동시에 언론사의 서열구조도 예기치 않은 상황이 펼쳐질 수 있다. '마이 뉴스 설정'을 하면 메이저신문사는 상대적으로 유리하다는 전망이지만 반드시 그렇다고 보기도 어렵다. 


뉴스캐스트에 이어 뉴스스탠드에 몰두하다보면 '모바일'은 놓칠 수 있다. 모바일은 상당히 중요한 플랫폼인데 이미 포털이 시장을 잠식하고 있다. 포털의 뉴스 서비스는 경쟁력을 갖고 있다. 언론사가 따라잡기 어려운 상황이다.


결국 지금까지의 뉴스 유통의 전환 더 나아가 뉴스 기획과 생산, 서비스 모델를 근본적으로 전환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판단된다. 


첫째, 언론사의 즉자적, 일차원적 뉴스 생산과 유통 모델을 바꿔야 한다. 과연 포털에 뉴스공급을 해야 하는지, 한다면 이런 방식을 유지해야 하는지 가능하다면 공동의 논의가 필요하다.


둘째, 언론사 온라인 뉴스 서비스가 경쟁력을 갖춰야 한다. 이를 위해 언론사 온라인 뉴스조직의 위상과 형태를 재정의할 필요가 있다. 외곽 혹은 보조적인 기구가 아니라 대등하거나 비중을 강화해야 한다.


셋째, 온라인 뉴스 그 자체를 업그레이드해야 한다. 뉴스의 형식과 내용, 뉴스 생산 이후의 대응(소통)까지 종합적인 고려가 반영돼야 한다.


위의 문제는 곧 기자 역할 즉, 업무의 재정의를 비롯 뉴스룸의 통합까지 다뤄야 할 사안이다. 뉴스스탠드는 언론사의 '혁신'을 주문하는 셈이다.


뉴스스탠드가 언제 시행될지 지금으로서는 알 수 없다. 위의 준비와 전환을 하기까지 걸리는 시간을 감안하면 상당히 빠듯한 것은 사실이다.


따라서 뉴스스탠드 이후에도 뉴스캐스트 같은 난삽한 경쟁이 재연될 수 있다. 이는 포털 종속의 심화라는 점에서 심중한 사태라고 할 것이다. 


온라인 독자를 합산하는 통합 오디언스 개념이 시대적 추세인 만큼 독자 로열티 강화 즉, 생존의 길을 찾기가 점점 어려워지는 것이다.


최근 전 세계 주요 언론사들이 저작권을 지키기 위해 포털 검색 노출에 반대하거나 소송을 불사하는 등 전에 없는 집단 행동에 나선 것은 참고할만하다. 


언론사들이 온라인 생태계에서 권리를 찾기 위해 사활적인 노력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업계의 이익을 확대하는 공동의 대응이 보다 치밀해져야 한다. 그러자면 이익단체와 언론사 내부에 시장을 잘 아는 사람들이 필요하다. 


'인터넷뉴스서비스사업자'인 포털도 언론사들과 공생하는 것에 대해 전향적인 입장을 가져야 한다. 가령 뉴스 저작권에 대한 제값을 산정하는 방식에 대해서도 자사 서비스에 대한 '기여도'나 일반적인 '지명도'로 이야기할 것이 아니라 공급자 관점에서 다룰 필요가 있다. 특히 검색, 독자 참여 서비스 등 자사 채널에서 저작권 보호와 이익을 극대화하는 모델을 적극 검토해야 한다.


특히 뉴스스탠드는 권한 커진 독자의 역할도 지대하다. 유익하고 신뢰도 높은 뉴스를 제공하는 언론사(의 저널리즘)을 격려하고 응원해줄 몫을 져버리지 말아야 한다. 


온라인 뉴스 생태계는 뉴스에 대한 공공적 소비(댓글 같은 참여까지 포함)가 주도할 때 언론사의 수준 높은 온라인 저널리즘 등장을 촉진하게 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그러나 근본적으로는 언론사의 온라인 뉴스에 대한 선택과 집중이 과제다. 이 부분에 대해 어떤 접근을 하느냐가 뉴스스탠드 이후 그야말로 허허벌판으로 던져진 언론사의 미래를 담보하게 될 것이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