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TV

2011년 MBC 다큐멘터리, 교양, 시사보도프로그램

by 수레바퀴 2011. 12. 23.

 

MBC 하반기 다큐멘터리, 교양프로그램은 대작은 없었지만 휴머니즘에 주목했다. 시청률 하락세에 들어선 시사보도 프로그램은 성역과 금기를 비판하는 저널리즘의 회생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많았다.


2011년 한 해가 마무리되는 시점. 올해 MBC 어떤 프로그램이 시청자들의 사랑과 관심을 받았는지- <tv로 보는 세상>에서는 2주에 걸쳐서 하반기 mbc 프로그램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첫 번째 시간은 드라마와 다큐멘터리, 교양 부문! 두 번째 시간은 예능과 시사 보도 프로그램들을 결산한다. 시청자들의 의견을 직접 들어보고, 아쉬웠던 점을 토대로 앞으로의 방향성에 대해서도 함께 고민해보고자 한다.

Q. 2011 하반기 MBC 다큐멘터리, 교양 프로그래을 아울러 봤을 때 총평을 부탁합니다.

A. 올해 다큐멘터리, 교양 프로그램은
대작 보다는 사람, 사랑에 주목한 잔잔한 주제의식이 돋보였습니다. 시청자들의 일상과 아기자기한 추억들을 짚는 소재가 많았죠. 또 과거, 현재, 미래를 연결하면서 오늘의 사람들에게 메시지를 전해주었는데요. 우리가 잊고 지냈던 사람을 재조명한다거나 시련을 헤치는 우리 이웃을 통해 현실을 되돌아보게 했죠. 청년, 노처녀, 인생이모작에 나선 직장인처럼 특정한 세대, 계층을 생각해보는 기회도 제공했고요. 특히 여느 해보다 다양한 소재를 발굴한 것이 이채로웠습니다. 딱따구리나 군견, 대중음악, 야구, 소리 등 같은 것이죠. 

Q.
2011 하반기 mbc 다큐멘터리와 교양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아래와 같이 몇 가지 키워드를 정리해보았는데요, 각각의 내용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코멘트해주세요. 

-
① 화제집중! 이 프로그램 : <MBC 스페셜> - 캥거루케어 / 안철수와 박경철 2편, <MBC 추석특집다큐> - 우리가 사랑한 여배우 카페 정윤희 등, 시청자들의 많은 관심과 화제를 이끌어낸 작품

A. 올해 초 청소년, 청년들이 만나보고 싶어하는 이 시대의 멘토를 개그맨 김제동 씨가 솔직담백하게 다루면서 눈길을 끌었죠. 모성애, 육아에 대한 생각게 한 ‘캥거루 케어’나 ‘60cm'처럼 인간애를 짚은 해외 현지 제작 프로그램들이 기억에 납니다. 정윤희, 최동원처럼 잊혀졌고, 우리 곁을 떠난 이 시대의 영웅들을 재조명한 것도 재미있었습니다. 또 록이나 트로트처럼 대중음악에 대한 이야기도 흥미를 끌었죠. 건강에 대한 이야기도 많았는데요. 특히 MBC프라임 ‘호흡’은 독특한 소재인 숨에 대한 재발견이라고 해야 할까요, 많은 반향을 불러모았죠.

-
② 다큐, 친근하고~ 새롭게!! : <시추에이션 휴먼다큐 - 그 날> = 친근하면서도 쉬운 주제와 내용들, <MBC 창사 50주년 특별기획 - 타임> = 하이브리드 다큐!(하이브리드 다큐? 드라마, 예능의 다양한 기법과 장치를 사용한 새로운 형식의 다큐), 다양한 다큐멘터리에 “연예인” 등장 (소재 및 내레이션 참여)

A. 올해 다큐, 교양 프로그램 특징 중에는 새로운 기법이 등장했고 대중 스타가 나레이션이나 직접 출연한 눈길을 끌었죠. 한혜진, 차승원, 윤상, 송윤아 씨 등은 나레이션으로, 김제동 씨는 직접 출연하기도 했죠. 많은 관심을 불러모았던 ‘타임’은 다양한 기법을 동원했죠. 다큐 타임에서 다룬 ‘돈’의 경우 사실과 허구를 섞은 페이크다큐멘티러였죠. 현장에서 직접 돈을 뿌리기도 했고요. ‘새드무비를 아시나요’는 드라마, 예능 장르가 적절히 소화된 다큐였죠. 

Q. 2011 하반기 mbc 다큐멘터리와 교양프로그램에서
아쉽다고 생각되는 점이 있다면, 어떤 부분을 꼬집을 수 있을까요? 2012년 다큐와 교양에 대한 바람, 제언도 좋습니다!

A. 휴머니즘이라는 소재는 다룰수록 빛이 나는 것입니다. 그러나 다큐멘터리는 좀더 우리 사회의 본질적인 문제들을 탐사적으로 다뤄내는 것이 아닐까라는 점에서 아쉬운 점이 많았습니다. 환경 문제는 대표적이죠. 원전 참사로 이어진 일본 쓰나미는 에너지 문제에 대한 깊은 성찰을 제기했는데요, 단순히 참사를 이겨내는 사람들의 의지 문제로 좁힌 것은 한계라고 생각합니다. 또 새로운 기법은 많았지만 재미를 추구하는 바람에 정확히 메시지가 전달되지 않았다는 한계도 있었습니다. 다큐멘터리와 교양 장르는 어느 것보다 주제의식이 드러나야 하는데 오락적인 측면은 강해진 반면 얼렁뚱땅 끝나버린 프로그램들이 적지 않았습니다. 교양 프로그램은 메디컬 스토리 닥터스, 고향을 부탁해 등이 신설되면서 내년을 기대하게 만드는데요. 주부, 여성 시청층이 아닌 시청층을 넓히는 아이템 발굴이 필요해 보입니다. 특히 내년에는 깊이 있게 다루는 탐사물, 대작 프로그램들이 많이 나왔으면 합니다. 

Q. 2011 하반기 MBC 시사보도 프로그램을 아울러봤을 때 총평을 간단히 부탁드립니다.

A.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간판은 ‘뉴스 프로그램’입니다. 시청률 하락세가 이어졌는데요. 시청자들이 뉴스프로그램에 대해 보내는 애정과 신뢰를 생각게 하는 대목입니다. 달을 가리키는데 손가락 끝만 본다는 지적을 살펴봐야겠고요. 시청자들에게 관심을 불러모은 <PD수첩>의 고군분투가 있었습니다만 전반적으로는 토론프로그램을 비롯 시사보도 프로그램 제작진의 성찰과 분발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많았습니다.

Q.
2011 하반기 mbc 시사보도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아래와 같이 몇 가지 키워드를 정리해보았는데요, 각각의 내용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코멘트해주세요. 

-
① 말 많고, 탈도 많았던! : <100분 토론> - MC의 편파적인 진행 / 패널의 취중 방송 / 거짓토론자

A. 토론 프로그램은 토론주제 선정부터 패널 선정, 방청객, 진행자 모든 것이 공정하게 진행돼야 하는데 논란이 잇따르고 있습니다. <100분 토론>은 사전에 진위여부를 파악하지 못해 전화연결된 시청자의 주장이 ‘조작’ 논란에 휩싸이기도 했습니다. 선거를 앞두고는 취중방송을 한 패널이 문제가 됐습니다. 신중하고 공정한 접근이 아쉬웠습니다. 

-
② 자극적! 선정적인 보도 : 뉴스 보도 시, 자료화면 등에서 선정적이거나 자극적인 보도 상당수, 혹은 다소 소재가 부드러워진 부분에 대한 아쉬움들

A. 뉴스 프로그램의 본질은 뉴스가 다루는 내용이지 그 형식이 아닙니다. 그런데 올해 뉴스 프로그램은 앵커의 가벼운 멘트와 의상이 두드러지는 본말이 전도된 일들이 많았습니다. 뉴스 보도물이 우리 사회의 엄중한 문제를 고발하거나 다루기보다는 가벼운 소재들로만 꼭치를 채우는 데 급급했다는 지적도 있었습니다. 중요한 사안은 아예 헤드라인에 가지 못하고 아예 다루지 않거나 소홀히 다루는 경우도 많아서 시청자들의 아쉬움을 샀습니다. 여기에 사건사고를 다루는 데 있어서도 선정적이고 자극적인 화면과 수박겉핥기식 리포팅에 대한 문제가 많았습니다. 

-
③ 새로운 토론프로그램의 시작 : 개편과 함께 MBC 여성토론 <위드> 시작!

A. 상당수 시사보도 프로그램이 사라지거나 위축되는 가운데 여성토론 <위드>는 색다른 접근으로 평가할 수 있습니다. 각종 이슈에 대해 여성의 시각으로 다뤄본다는 취지인데요, 여성들이 관심 있어할만한 토론소재도 다룰 계획이라는 점에서 인상적입니다. 연출자나 작가 등 제작스텝도 모두 여성으로 채우는 발상의 전환도 주목받았습니다. 앞으로 어떤 방향과 내용으로 구성될지 주목됩니다. 다만 여성 본위라는 프레임에 매몰되다보니 토론수준이 억지스럽다는 지적도 적지 않습니다. 세심한 보완이 필요한 대목입니다. 

Q. 2011 하반기 mbc 시사보도 프로그램에서
아쉽다고 생각되는 점이 있다면, 어떤 부분을 꼬집을 수 있을까요? 2012년 시사보도 프로그램에 대한 바람, 제언도 좋습니다!

A. 청년실업, FTA, 전월세 등 물가, 권력형 비리, 선거 등 모든 이슈들이 엄중하고 복잡해지고 있습니다. 그만큼 공정성과 객관성이 필요합니다. 다가서기 어렵고 어두운 면을 통렬하고 후련하게 다뤄주는 용기와 노력이 필요합니다. 2012년은 올해의 아쉬운 부분들을 극복하는 자기점검 그리고 철저한 현상분석과 문제의식 정립이 구체적으로 드러나주는 프로그램이 많이 제작되길 바랍니다. 특히 성역과 금기에 대한 비판과 고발로 시청자들의 애정과 관심이 다시 모여지길 기대해봅니다.

덧글. MBC <TV속의 TV> 연말 결산 교양, 다큐멘터리/시사보도 프로그램에 대한 총평입니다. 23일, 30일 2주에 걸쳐 방송됐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