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미디어

트위터 변주곡, 화음인가 소음인가

by 수레바퀴 2010. 9. 3.

트위터는 새로운 관계맺기를 통해 소통의 확대를 이끌고 있지만 동시에 관계의 왜소화, 기형화를 초래하는 것은 아닌지 짚어볼 여지도 있다.


트위터는 간편한 이야기 장치다. 140자 이내로 글을 쓰면 된다. 딱히 주제가 정해진 것도 아니다. '나'의 생각이나 다른 사람의 행동이나 무엇이든 상관없다. 누가 듣든 대꾸하든 기다릴 필요도 없다. 일체의 간섭과 참견이 없다.

일반적으로 사회에서는 좋은 관계와 나쁜 관계가 있다. 이들간에는 복잡하게 얽힌 관계들에 의해 설득과 타협이라는 과제가 늘 따라 붙게 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불필요한 이야기를 해야 할 때도 있고 들어야 할 때도 있다. 억지로 소통에 매달리는 것이다.

반면 트위터는 개인이 쓴 글이나 공개한 이력(bio)으로 미리 짐작할 수 있다. 좋지 않은 관계가 예측되는 사람은 친구를 맺지 않으면(unfollow, block) 된다. 미리 이야기 시장의 정화가 이뤄져 긴장감을 가질 이유가 없다.

이야기에 관한 한 자유와 해방을 준다. 학벌도 전문성도 요구하지 않는다. 사회적 지위나 인지의 부족으로 익명의 비난을 굳이 감수해야 할 이유도 존재하지 않는다. 트위터는 이야기를 하고자 하는 사람에게는 낙원인 것이다.

더구나 내가 원하는 친구 맺기는 더 나은 관계들을 인도한다. 가령 실시간으로 소통하는 연예인이나 정치인, 언론인을 만나 쉽게 소통할 수 있다. 지구 반대편에 있는 사람과 관심사에 대해 털어놓을 수 있다. 조건도 약속도 필요하지 않다.

때로는 어떤 이야기는 많은 사람에게 전달(RT)된다. 서로 연결된 관계(follow)로 인해 수많은 사람에게 이야기가 전달된다. 더 풍성하고 긍정적인 울림이 전해진다. 누군가가 올린 글은 호감을 가진 관계들에 의해 회자돼 사회적 반향을 불러 모으기도 한다.

이러한 이야기 드라마는 가상(cyberspace)에서 시작되지만 현실(realtiy)과도 동떨어져 있지 않다. 트위터의 이야기는 사적인 동시에 공적이며 공적인 동시에 사적인 메시지를 지니고 있어서다. 정보, 의견, 위치 같은 '나'를 둘러싼 모든 이야기는 재현과 재현의 순간을 반복하면서 무한대로 확장하게 된다.

현실과 가상을 넘나드는 재현의 과정은 이야기의 진가가 무엇인지 증명해 보인다. 내가 과거에 남긴 이야기는 다시 현재에 인용된다. 또 사람의 욕망, 꿈은 친구를 맺은 사람들의 시간(timeline) 위에 끝없는 레일처럼 지나간다. 그리고 현재의 이야기는 예측할 수 없는 미래와 조응하면서 흥미진진한 이야기를 기약하게 된다.

그러나 트위터는 오늘날 소통의 불균형을 적나라하게 채증한다. 가족과도, 친구와도 이야기 시간이 부족한 현대인의 단절은 개인화된 미디어 기기를 통해 더욱 철저한 고립으로 이어진다. 혼자서만 떠들기도 한다. 메아리 없는 소통을 무감각하게 방치하는 온상이 된다.

진중하게 관찰하는 느림의 태도도 부족하다. 수 초 동안 다양한 사람에 의해 쏟아지는 글들은 두 세 사람이 마주 본 채 나누는 대화라는 오랜 형식을 무너뜨린다. 그저 '지켜 보기'가 소통이 되기도 한다. 또 설득과 타협을 시도하기보다는 간단한 버튼 클릭으로 왕따 시키기를 선택할 때도 다반사다.

두 말 할 나위 없이 트위터는 사람들이 무엇을 생각하고 무엇을 하는지 손쉽게 관찰하고 언제 어디서나 대화에 참여할 수 있는 유용한 도구이다. 플라톤은 대화는 ‘스스로 생각하는’ 능력을 훈련시키고 발달시키는 좋은 방법이라고 말한다. 소통에 참여하는 트위터리안들의 몫이 지대하다. 세상의 화음을 빚을 이야기꾼들의 도래를 기대해본다.

덧글. 이 포스트는 공주대학교 학보 2학기 개강호에 실렸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