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Online_journalism

광고 덩굴 속 외딴 댓글 언제까지?

by 수레바퀴 2010. 6. 24.

한겨레신문 뉴스 뷰(view) 페이지. 뉴스 하단 기자 이름이 나온 크레딧(credit)부터 기사의견쓰기-뉴스댓글 박스까지 무려 1,603픽셀의 거리가 떨어져 있다. 국내 대부분의 언론사 뉴스 페이지에서 독자가 댓글박스를 이용하려면 상하좌우 심지어 위 부분까지 차지한 무수한 광고더미들을 헤쳐야 한다.


국내 언론사가 운영하는 뉴스 사이트에서 이용자가 댓글을 쓰거나 보려면 산 넘고 물 건너-무수한 광고를 지나서 후미진 곳에 이르러야 한다.

종합일간지 10곳, 경제지 2곳, 지상파 방송 3곳, 인터넷신문 2곳 사이트의 뉴스 뷰 페이지 댓글 환경을 파악한 결과 대부분의 언론사 뉴스 댓글 입력 폼(form, 공간)-댓글 박스가 뉴스 본문과 지나치게 떨어져 있거나 많은 광고로 포위돼 있는 등 댓글 환경이 열악한 것으로 파악됐다.

또 뉴스 댓글 입력 폼이 지나치게 평면적이고 형식적으로 디자인돼 있어 참여 유도도 기대하기 어려웠다.

10개 종합일간지와 2개 경제지 등 12개 신문사 웹 사이트의 경우 뉴스와 댓글 박스 사이 간격이 평균 1130픽셀(pixel)인 것으로 집계됐다.

조선, 동아, 한겨레, 한국 등 대부분의 종합일간지와 매경, 한경 등 경제지는 최소 850 픽셀에서 최대 1700픽셀로 웬만한 웹 사이트 길이 정도로 뉴스와 댓글 박스 사이를 벌려 놓고 있었다.

인터넷 매체의 특성을 가장 잘 살려야 할 오마이뉴스, 프레시안도 각각 908 픽셀, 1,514 픽셀로 댓글을 보거나 참여하려면 상당한 스크롤 내리기를 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문사 중에는 조인스닷컴이 551 픽셀로 가장 간격이 짧았고, 지상파 방송 3사는 200 픽셀 전후였다.

뉴스와 댓글 박스사이의 물리적 간격을 잴 때에는 뉴스 마지막 부분 부터 댓글 입력 폼까지로 했다. 대체로 뉴스 페이지 마지막 부분에 나타나는 입력 및 편집시간이나 기자 이름이 들어가는 크레딧에서 출발해 뉴스 댓글이 나타나는 지점까지로 했다. 뉴스와 댓글박스 사이에는 텍스트와 썸네일 광고, 주요뉴스 리스트, 문맥 광고, 디스플레이 광고 등이 빼곡히 들어가 있었다. 일부 신문사의 경우 뉴스에 따라서 약간의 간격 차이가 있지만 대체로 조사결과와 비슷할 것이다.

뉴스와 댓글 박스 사이의 간격이 먼 것은 그 사이에 주요 관련 기사(이미지 포함)가 들어가 있기도 하지만 다양한 형태의 광고가 들어가기 때문이다.

주로 텍스트 광고, 썸네일(이미지) 광고가 빼곡히 들어가는 것은 물론이고 뉴스 댓글 박스 바로 위 공간까지 페이드 인(fade-in) 광고가 노출되는 경우도 있었다.

한 신문사 뉴스박스 하단에 페이드 인(fade-in) 형태로 뜨는 온라인 광고.


한 신문사 닷컴 관계자는 "관련 뉴스나 보여주고 싶은 뉴스 리스트와 광고를 댓글 박스 상단까지 연속적으로 늘여 놓는 것은 어쩔 수 없는 선택"이라면서 "내부에서도 문제가 있다고 판단한다"고 말했다.

댓글을 작성할 수 없도록 만드는 댓글 박스 주변의 복잡하고 선정적인 이미지 광고나 텍스트 광고의 부작용을 잘 알고 있는 것이다.

또 댓글 박스의 글쓰기 버튼이나 칼라 등 디자인과 유저 인터페이스(UI)가 볼 품 없게 설계돼 있었다.

해외 언론사의 뉴스 댓글 박스도 세련된 것은 아니지만 광고나 다른 간섭적 요인으로부터 벗어나 있는 것을 감안할 때 국내 언론사 뉴스 댓글 환경을 개선하는 디자인적 고려는 필요하다.

한 신문사 웹 디자이너는 "댓글 박스의 디자인 개선으로 댓글 활성화에 기여할지는 확신할 수 없지만 디자인적으로 보면 방치돼 있는 것은 맞다"고 말했다.

블로그 트랙백 기능을 넣은 한겨레신문 뉴스 댓글 박스(위). 조선일보 100자평 쓰기-댓글 박스(아래). 다른 언론사에 비해 그나마 괜찮은가?

이렇게 국내 대부분 언론사들의 뉴스 댓글 환경이 좋지 못한 것은 매출 문제 때문이다. 이렇다 한 뉴스 유료화 모델을 갖고 있지 못한 상태에서 광고매출을 늘려야 하는 것이다.

특히 네이버 뉴스 캐스트 도입 이후 트래픽이 급증하면서 다양한 광고상품을 만들어 뉴스 뷰 페이지에 배치하는 것이 일반적인 상황이 됐다.

한 신문사닷컴 관계자는 "광고로 도배하면 나쁜 측면도 있단 걸 알면서도 매출때문에 어쩔 수 없다"고 말했다. 또다른 신문사닷컴 관계자도 "현실적으로 이렇게 광고벌이를 하는 것 외에 대안이 없는 것 아니냐"고 반문했다.

언론사별로 조금씩 다르지만 1~2년 사이 호조세를 띤 고정형 정액제 광고의 경우 연 단위로 천만원대가 넘는다. 그런데 클릭당 광고비가 책정되는 CPC 광고는 언론사 뉴스 사이트에서 일반적으로 클릭당 100원~300원 정도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0.02%의 지극히 낮은 클릭율이 문제다.

따라서 언론사 입장에선 소액 광고주들을 묶어 영업하는 미디어 렙사 등과 협의해 뉴스와 댓글 박스 사이 공간에 광고를 집어넣는 턴키 방식의 계약이 빈번하다. 디스플레이 광고-배너 광고 외에 더 많은 정액 광고상품을 원하고 있어서다.

언론사 사이트에 구조적으로 광고공간이 늘게 되면서 상대적으로 뉴스 댓글의 위상은 쪼그라들었다. 네이버 뉴스캐스트로 급격히 증가한 트래픽을 광고 매출에만 집중한 결과라고도 볼 수 있다.

더 심각한 것은 뉴스를 통해 독자와의 소통을 증진하려는 노력과 관심이 전무한 점이다. 뉴스룸 내 전담자도 없고 기자들 스스로가 직접 쓴 뉴스에 올라온 독자의 댓글도 외면하는 게 일반적이다.

마침내 최근 한 신문이 인터넷 소통 에디터를 신설하면서 화제가 되기도 했으나 실제적으로는 아무 것도 달라진 게 없다는 소식이다. 웹 뉴스 서비스가 실제 취재기자들을 보유한 오프라인 뉴스룸과 무관하게 돌아가고 있는 구조적, 전략적 결함 때문이다.

한 메이저신문사 관계자는 "(국내 언론사는)인터넷에서 독자들과 소통할 준비가 돼 있지 않다"면서 "기자들이 독자들과 소통하는 데에는 앞으로도 많은 시간이 필요하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국내 언론사가 뉴스 댓글 서비스를 해야 하는지 근본적으로 회의가 드는 대목이다. 이번 조사에서 각 신문사(닷컴) 관계자들은 뉴스 댓글을 어떻게 운영해야 할지 깊은 고려는 부족해 보였다.

이는 취재 기자들의 적극적인 참여가 절대적인 만큼 온라인 뉴스룸만으로는-국내에서는 대부분 닷컴사 조직으로는-한계가 있어서다. 또 기자들의 업무 부담이 많고 온라인 이해도가 낮은 점도 장애물이다.

일단 뉴스룸에서 독자들과의 소통 장치-뉴스 댓글, 이메일, 커뮤니티(블로그)를 어떻게 활용할지 조속히 결정할 필요가 있다.

뉴스 댓글의 경우 뉴스룸과 기자의 개방성, 상호성, 신뢰성을 담보하는 창으로 쓰임새가 적지 않다. 모든 뉴스에 댓글을 달기 어렵다면 소통 담당 에디터가 매일 올라온 댓글 중 일부를 24시간내 답변해주는 방식도 고려해봄직 하다.

뉴스룸이 독자들의 반응에 주목하고 있다는 것을 전하게 되는 것만으로도 충분한 가치가 있다. WSJ, NYT, 가디언 등 해외 언론사들이 어떻게 대응하고 있느냐를 살펴보는 것만으로는 더 이상 진도가 나가지 않으므로 이제 구체적인 소통 행보에 나서는 언론사가 있길 기대해본다.

일부 신문사(닷컴) 관계자는 구체적인 개선 의지도 밝혔다. 한 신문사닷컴 관계자는 "7월 사이트 개편시 광고를 비롯 서비스 환경을 대폭 개편할 예정"이라면서 "고정매출이 발생하는 광고도 있지만 배치도 바꾸고 댓글을 우대(?)해 보겠다"고 약속했다.

또 다른 신문사 기자는 "댓글보다는 주요 현안에 대해 독자들의 의견글에 대해 보상해주고 이 부분에 대해 뉴스룸의 간부가 자사의 입장이나 견해를 밝히는 것도 시도해야 한다"고 말했다.

뉴스 댓글을 포함해 뉴스를 둘러싼 뉴스룸-독자간 소통이 언론사 온라인저널리즘을 평가하는 척도가 된다는 점을 고려할 때 앞으로 전개될 변화 과정들을 지켜보는 것은 흥미로운 일이라고 할 것이다.

그럴수록 언론사들은 오래도록 지켜온 완고한 자사 논조의 장막을 걷어내야 하고 그 대신 왕성하고 열정적인 독자들을 껴안아야 할 것이기 때문이다.

덧글. 6월21일~23일 사이 6개 신문사와 닷컴 실무자들을 이메일, msn, 전화 등의 형태로 파악했다. 뉴스 본문과 댓글 박스 사이 간격과 광고 위치 등은 해당 뉴스 페이지의 여건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감안해야 한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