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Online_journalism

뉴스 클릭수, 어떻게 할까?

by 수레바퀴 2009. 5. 22.

사용자 삽입 이미지

조선닷컴의 뉴스랭킹. 이용자가 가장 많이 본 뉴스를 그래프 등 비주얼한 형식에 의해 전체적으로, 섹션별로 보여준다. 또 실시간, 24시간, 일주일, 한달 등 기간별로도 제공한다. 포토 뉴스는 물론이고 부가 섹션의 콘텐츠 랭킹도 제시해준다. 클릭수가 또다른 콘텐츠로 재탄생한 것으로 경쟁사들조차 이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살펴보고 있다.


한국인터넷진흥원의 <2008년 인터넷이용실태조사>에 따르면 만6세 이상 인터넷 이용자의 77.3%가 인터넷을 통해 '신문'을 읽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잡지 서적은 37.3%, TV는 33.4%로 주요 미디어 이용에서 인터넷의 활용도가 커진 것으로 파악됐다.

이들 이용자들은 일반적으로 포털사이트에서 뉴스를 소비하고 있어 언론사 뉴스 사이트에 대한 선호도는 낮은 편이다. 하지만 올해 초 네이버가 뉴스캐스트를 시행하고, 2007년 전후 주요 포털이 검색시 아웃링크를 도입하면서 언론사 뉴스를 '직접' 소비하는 현상도 형성되고 있다.

인터넷 시장조사기관 코리안클릭의 5월 둘째주 서비스 트래픽 자료에 따르면 조선닷컴과 조인스닷컴의 순방문자수가 다음과 네이버 뉴스 순방문자수를 가파르게 추격하고 있는 모양새다. 특히 뉴스캐스트 시행 이후 트래픽이 빠진 네이버 뉴스 사이트의 경우 순방문자수가 973만명 정도로 조선-조인스닷컴의 890만명대와 큰 차이가 나지 않는 상황이다.

네이버 뉴스 사이트가 전체 인터넷 뉴스 유통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절대적으로 높았던 것에 비춰보면 초기화면 뉴스박스내 뉴스의 아웃링크가 톡톡한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한 신문사닷컴 관계자는 "뉴스캐스트 시행 이후 전체 방문자수나 페이지뷰가 늘고 있는 것은 물론이고 개별 뉴스의 클릭수-조회수도 평균 2~5배 늘었다"고 전한다.

이런 가운데 최근 한경닷컴이 온라인 전용으로 생산한 뉴스가 조회수 300만회를 기록해 눈길을 끈다. 이 뉴스는 한국경제신문의 온라인뉴스룸 역할을 하는 한경닷컴 취재인력이 자체적으로 생산한 것으로 남다른 의미도 있다. 한경닷컴 관계자는 "증권팀에서 기획해 지난 2월 16일부터 연재한 '슈퍼개미열전'이 이용자들에게 큰 호응을 받고 있다"고 말했다.

한경닷컴 관계자에 따르면 '슈퍼개미열전' 시리즈물의 12번째 뉴스인 '3초의 승부사가 된 가출소년 원형지정 (圓形之情) 황호철'은 19일 등록, 뉴스캐스트 등 포털에 송고하면서 21일 오전 10시 조회수 300만 클릭수를 돌파했다는 것이다.

사실 온라인에서 단일 뉴스가 300만 클릭을 기록한 것은 유례를 찾기 힘든 일이다. 빅 히트를 한 경우도 100만 클릭을 넘기는 것이 쉽지 않기 때문이다. 조인스닷컴의 경우 지난 1월31일 등록된 '중앙일보, 공익 위해 연쇄살인범 강호순 이름·얼굴 공개' 뉴스가 106만 클릭을 기록한 바 있다.

조선닷컴이 지난 2007년 웹 사이트에 공개한 가장 많이 읽은 뉴스 1위는 ‘CCTV에 찍힌 안산역 토막 시신 용의자’로 클릭수는 613,722회.

조선닷컴의 운영을 맡고 있는 디지틀조선일보의 한 관계자는 "강호순 관련 뉴스의 경우 126만 클릭을 기록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뉴스캐스트 시행으로 보통 빅 히트를 기록한 뉴스의 클릭수가 100만 정도는 된다"고 밝혔다.

한겨레신문의 경우 올해 1월부터 4월까지 100만 클릭수 이상을 기록한 뉴스는 총 3개다. '묻지도 따지지도 말고 '늙은이 시트콤' 해봅시다(4월9일)'는 171만 클릭, '나이 200살 무게는 650t '괴물' 땅속에 산다', '특종! 광우병PD 결혼한다'는 각각 118만, 107만건을 기록했다.

미디어다음의 한 관계자는 "포털 뉴스편집의 특성상 개별 뉴스의 클릭수를 잡기가 모호하다"면서 "클릭수가 많이 나오는 뉴스들은 평균 100만~150만 클릭을 기록한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영화배우 이은주 자살사건, 노무현 탄핵 시위 중계나 관련 뉴스들은 많은 클릭이 이어졌다"고 덧붙였다. 네이버 뉴스채널의 한 담당자는 "네이버는 개별 뉴스의 클릭을 따로 정리하지 않는다"면서 특별한 언급을 피했다.

인터넷신문 오마이뉴스의 경우 지난 2002년 대통령 선거 투표일 전날 밤인 12월18일 노무현 지지를 철회한 '정몽준 폭탄이 터진 날 1~24신' 뉴스가 사상 단일 뉴스 최대 클릭수인 50만명을 기록했다고 보도한 바 있다. 오마이뉴스의 당시 위상과 영향력을 감안할 때, 주요 포털이 아웃링크 제도를 직간접적으로 도입한 최근까지도 최대 기록에 속하는 뉴스라고 판단된다.

스포츠, 연예 관련 뉴스를 생산하며 인터넷 이용자들을 사로잡고 있는 스포츠신문은 어떨까? 일간스포츠는 지난 2월 게재한 '"이것이 '꽃남' 엔딩?" 결말 유출 한바탕 대소동' 뉴스가 93만 클릭을 기록했다. 100만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자사 웹사이트내 단일 뉴스의 클릭수가 이 정도라면 부수적 효과도 다양하게 챙길 수 있다.

예를 들면 개별 뉴스의 클릭수가 50만~100만 정도라면 댓글 수도 대략 500개를 훌쩍 넘는다. 포털사이트 뉴스댓글을 부러워하던 때를 생각하면 언론사로서는 반가운 일이다.

또 빅 히트를 기록한 뉴스 덕분에 다른 연관 뉴스의 클릭도 늘어나는 것은 당연하다. 어떤 경우는 한꺼번에 이용자가 몰려 사이트 로딩이 느려지는 해프닝을 일으키는 주범(?)이 되기도 한다.

신문사보다 인터넷 전용 뉴스에 대한 관심과 투자가 낮은 방송사 사이트도 최근 100만 클릭수를 기록하는 뉴스가 늘고 있다. 지상파 3사 사이트 중 뉴스 채널에서 1위를 기록중인 SBS의 경우 지난 14일 '뉴스추적, 20대 산모 사망사건, 그 진실은' 기사가 120만 조회수를 기록했다.

한 방송사 사이트 뉴스팀 관계자는 "다른 방송사들도 비슷하겠지만 과거에는 단일 뉴스 클릭수가 10만이 넘는 경우가 한달에 1~2개, 지금은 하루에 5~6개는 된다"고 말했다. 네이버 뉴스캐스트로 유입되는 이용자가 많아서다.

하지만 이같은 뉴스 클릭수 증가가 뉴스룸에 바로 보약이 되는 것은 아니다. 한 방송사 사이트 관계자는 "뉴스룸 내부에는 뉴스캐스트를 비롯 인터넷 뉴스 소비 문화에 대한 이해가 낮은 것이 현실"이라면서 "다만 드라마 채널 못지 않은 UV, PV로 뉴스 프로모션이 수월해진 것이 위안"이라고 덧붙였다.

특히 트래픽에 매몰되는 상업주의는 해결해야 할 과제다. 선정적이거나 오락적인 뉴스가 아닌 아이템을 찾는 것도 중요한 이슈가 된다. 물론 트래픽이라는 현실과 맞부딪히는 온라인 뉴스룸 종사자에겐 아주 버거운 일이다.

이와 관련 조선닷컴은 뉴스 이용자들의 뉴스 소비 행태를 클릭수 기준으로 보여주는 '뉴스랭킹'이 있다. 지난 2007년 '핫토픽'이란 이름으로 서비스를 론칭했던 조선닷컴의 관계자는 "웹2.0에 대한 적극적 참여"라면서 "클릭수를 이용자에게 오픈하는 것은 이용자가 뉴스와 관련된 다양한 서비스를 경험하게 해주려는 취지"라고 설명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다음의 '이 기사 누가 봤을까'는 놀라울 정도로 뉴스와 이용자간의 '친밀성'을 드러낸다. 서울 지역에 거주하는 이용자는 서울의 뉴스를 가장 주목하며, 부산에 거주하는 이용자는 부산의 뉴스에 가장 주목한다. 성별, 연령별 인기기사도 연관성이 나타난다. 뉴스룸이 이용자를 떠나서 존재할 수 없는 이유이기도 하다. 온라인저널리즘은 바로 그 정교한 배경 위에서야 오롯이 부상한다.

비슷한 서비스로 미디어 다음의 '이 기사, 누가 봤을까'가 있다. 이용자 IP를 분석해 뉴스를 본 사람의 수, 연령, 성별, 지역별 정보를 그래픽으로 제공한다. 지역별 인기기사, 연령별 인기기사, 언론사별 인기기사, 최다댓글뉴스 등의 형태로 재가공돼 이용자들의 호기심을 충족시킨다.

뉴스 트래픽을 근거로 새로운 뉴스 서비스를 구상한다는 것은 첫째, 뉴스가 시장, 이용자들과 만나면서 형성하는 가치에 주목하는 것이며 둘째, 이를 통해 뉴스 생산과 서비스 전반에 대한 성찰과 개선의 여지를 제공하며 셋째, 뉴스를 생산한 매체와 기자 등 브랜드에 대한 새로운 평판을 조성할 수 있는 환경이 된다.

즉, 이용자들이 포털 플랫폼을 더 많이 활용하느냐 여부를 떠나서 뉴스를 더욱 많이 소비시킨 것만으로 만족해서는 안된다. 뉴스를 이해하고 뉴스룸과 친숙해질 수 있는 스토리를 만들어가는 작업이 중요하다. 포털을 통해 유입되는 (낚시질 기사의) 클릭수가 갖는 의미를 확대해석해서도 안되겠지만 말이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