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Online_journalism

"언론사 대선UCC 관점 바뀌어야"

by 수레바퀴 2007. 9. 12.

 

미디어 환경에서 UCC 흐름이 확대되면서 언론사들의 행보도 바빠지고 있다. 포털이나 블로그, 미니홈피로 빼앗긴 이용자들과 그 콘텐츠를 어떻게 하면 언론사 뉴스와 결합시킬 것인가의 과제가 부상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미 지난 2002한일월드컵, 탄핵정국에서 이용자들의 위력은 검증된 바 있다. 언론사들은 당시 포털사이트에 압도돼 이렇다 한 이용자 껴안기, 이용자 콘텐츠를 제시하지 못했다.

 

이번 대선은 언론사들이 UCC를 효과적으로 견인하기 위해 절치부심하고 있어 그 첫 실험공간이 될 것으로 보인다.

 

중앙일보의 조인스 대선 UCC 채널은 가장 강력한 서비스이다. 매니페스토 캠페인이나 여론조사 패널 운용도 비슷한 맥락으로 움직이고 있다. 중앙일보는 아예 웹2.0형 UCC 플랫폼인 ‘프리애그(FreeEgg)’를 준비하고 있다.

 

한겨레신문은 ‘참여연대’와 함께 ‘100인 유권자 위원회’를 구성해 시민과 함께 대선 보도에 나섰다. 또 서울신문도 프리챌 플랫폼을 활용 본격적인 대선 UCC 서비스를 앞두고 있다.

 

언론사의 대선 UCC는 크게 UCC 서비스를 확보, 지면과 웹에 공동으로 적용하는 방식과 단순히 UCC 채널을 보유하거나 지면에서 독자들과 호흡을 맞추는 정도로 나눠서 볼 수 있다. 또 이 경우에도 각각 기존 온오프 뉴스룸과의 결합 여부와 정도에 따라 세분화할 수 있다.

 

그런데 언론사가 다루는 대선UCC가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매체의 신뢰도 즉, 저널리즘의 질이 전제돼야 한다. 높은 수준의 저널리즘을 시연하고 있는 매체라면 충성도 높은 독자가 많을 수밖에 없고 UCC 참여도도 그만큼 비례한다고 할 수 있다. 특히 UCC는 언론사의 논평과 정체성을 뛰어 넘는 수위로 다가오고 있어 뉴스룸의 개방성과 균형성이 요구된다.

 

이런 점 때문에 현재 국내 언론사의 뉴스룸이 UCC의 다양한 목소리를 지면과 웹에서 적극 살릴 수 있겠느냐는 것은 일단 의문할 수밖에 없다. 더구나 정치뉴스, 대선보도의 민감성이 대선 UCC의 역동성을 원천적으로 제한하고 있다.

 

따라서 대선 UCC가 다른 주제의 UCC에 비해 국내 언론사에 정착되기까지는 진통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예를 들면 실제 의도한 바와 다르게 비효율적인 결과가 나올 수도 있다. 다시 말해 UCC의 규모나 내용이 언론사가 수렴하기 힘들 수 있다.

 

결국 대선 UCC의 문제점은 첫째, 정치인, 정당 등 선거관련 소스에 이용자가 접근하는 것이 한계가 있어서 콘텐츠 함량이 낮을 수 있고, 객관성 담보가 어려울 수 있다.

 

둘째, 편집국 등 기존 뉴스룸 기자가 이용자들과 소통, 협력하고 이를 반영해야 하지만, 인력과 기사생산 여건 때문에 독자(UCC)들의 역할이 겉돌 수 있다.

 

셋째, 이에 따라 대선UCC가 여론의 향방을 독자 차원에서 검증하고 소통한다는 원래 취지를 살리지 못하고 단지 일과적이고 형식적인 것으로 흐를 수 있다.

 

넷째, 대선 UCC가 정략적으로 악용될 수 있는 여지를 사전에 차단하기가 어려운 점도 있다.

 

이 때문에 대선 UCC 전략에 대한 재설계는 중요하다.

 

첫째, 독자들의 UCC를 영상이나 특정한 흐름(캠페인성) 등으로 몰아갈 것이 아니라, 독자 반응을 다양한 형식으로 수렴해, 언론사 대선보도 그 자체의 다양성을 보완하는 장치로 철학이 바뀔 필요가 있다.

 

둘째, 뉴스룸 내에 독자와의 접점을 활성화하는 전략 부서, 담당기자를 두고 이러한 프로그램을 정례화해서 특정 시기 뿐만이 아니라 지속적으로 UCC 채널과 협력하는 태세 및 그 인프라를 갖추어야 할 것이다.

 

셋째, 중앙일보 웹2.0 추진단처럼 급변하는 미디어 환경과 이용자들에 대비할 수 있는 전략부서가 요구된다. 즉, 보다 유연한 뉴스룸 문화와 전통을 수립하는 기구로 UCC 등 독자와의 소통을 뒷받침해야 할 것이다.

 

이제 UCC는 언론사의 미래 생존전략의 하나로 다가서고 있다. 또 UCC는 콘텐츠 확보 그 이상의 문제로 CRM 등 멤버십 프로그램과 연계해야 할 것이다. 이용자와의 소통, 이용자의 개입과 참여 없이 언론사의 미래를 논하는 것 자체가 의미가 없기 때문이다.

 

덧글. 미디어오늘 관련 기사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