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Online_journalism

[펌] 매체환경, 위기인가 기회인가

by 수레바퀴 2005. 7. 4.

(양평=연합뉴스) 이희용 기자 = '빅뱅'으로 일컬어지는 미디어 환경의 급격한 변화 속에서 미디어 기업과 수용자들은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를 놓고 전-현직 언론인과 언론학자, 언론운동가 등이 한자리에 모여 토론을 펼쳤다.

언론광장(상임대표 김중배)이 '미디어 환경 변화, 위기인가 기회인가'란 주제 아래 1-2일 경기 양평의 남한강연수원에서 개최한 토론회에서 참석자들은 매체 특성에 맞는 콘텐츠 개발과 수용자의 권익을 보호할 수 있는 투명하고도 공정한 정책이 절실하다고 입을 모았다.

첫날 총론 주제발표를 맡은 김주언 전 한국언론재단 이사는 △전통 미디어의 쇠퇴 △인터넷매체의 성장 △매체융합과 미디어그룹의 등장 등의 추세와 함께 저널리즘의 위기상황에 대해 설명한 뒤 "관계부처의 이견을 조정하고 미디어업계와 수용자의 의견을 고루 반영해 중장기 전략을 마련하는 국가미디어위원회를 설치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매체환경의 변화 흐름을 정확하게 파악해 얼마나 적극적으로 대응을 하느냐에 따라 각각의 미디어들은 흥할 수도 있고 망할 수도 있다"고 경고하며 "매체별ㆍ기업별 특화전략을 마련하는 한편 1인 미디어에 맞는 맞춤형 서비스를 개발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수용자운동이 다매체다채널 시대에 맞도록 새로운 방향을 모색해야 하며 다른 나라의 수용자운동단체들과도 연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각론 발표에 나선 최진순 서울신문 기자는 "인터넷 포털 뉴스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와 함께 수용자 감시연대가 필요하다"고 지적하는 한편 "신문기업들이 인터넷 환경에서 살아남으려면 디지털 콘텐츠의 질을 높이는 데 과감히 투자하고 인력을 배치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김평호 단국대 교수는 디지털 기술의 발달에 따른 미디어 환경의 변화를 '매체에는 위기, 자본에는 기회'라고 정의한 뒤 "압축성장이라는 정책 패러다임에 입각한 하드웨어 중심의 뉴미디어 난개발 현상을 막고 문화적 생태환경을 만들어나가야 한다"고 힘주어 말했다.

세번째 각론 발표자인 김서중 성공회대 교수는 "신문산업이 매체 환경 변화에 대응하는 과정에서 신문의 본질은 포기한 채 다른 매체의 장점을 추종하는 바람에 위기가 가중됐다"면서 "심층적인 정보와 기획 보도 등을 강화해 신문의 특성과 장점을 살려나가야 한다"고 당부했다.

토론자인 황상길 KBS 대외정책팀 기자는 "공영방송에 대한 사회적 합의도 없이 KBS의 공영화가 이뤄졌으며 제도적으로도 민영방송이나 뉴미디어와 큰 차별성이 없다"면서 "공영방송의 가치와 이념에 대한 재검토가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노광선 지역신문발전위원회 전문위원은 "지역신문들은 위기에 대한 고민조차도 사치스러울 정도로 빈사 상태에 놓여 있다"면서 "지면의 대변혁과 함께 기자들이 패배주의에서 벗어나는 것이 관건"이라는 견해를 피력했다.

엄주웅 스카이라이프 고객센터장은 "콘텐츠는 확보돼 있지 않은 상태에서 플랫폼만 자꾸 늘어나는 게 문제"라고 우려했고, 이창운 대자보 편집국장은 "자본이 미디어를 지배하는 현상을 어떻게 견제할 것인지에 대한 진지한 논의가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김승수 전북대 교수는 국내 미디어와 콘텐츠 기업에 외국 자본이 광범위하게 진출해 있는 상황을 설명하며 "개별 미디어 기업 차원에서 위기 상황을 해결하는 것이 불가능한 만큼 공익성과 저널리즘의 가치를 지켜내기 위한 특단의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이튿날 이어진 종합토론에서 김학천 건국대 교수(전 EBS 사장)는 "우리가 미국식 자유주의 시장경제를 말하지만 정작 미국 방송에서는 공익성 채널이 적절하게 안배돼 있는데 우리나라에는 채널 하나 건너 섹스, 아니면 홈쇼핑 식으로 상업성 채널이 범람하고 있다"고 개탄했다.

장행훈 한양대 겸임교수(전 동아일보 편집국장)는 "프랑스에서도 10년 안에 신문이 위기상황에 놓일 것이라고 전망하며 국가의 적절한 지원이 필요하다는 보고서가 나왔다"고 소개하며 국가미디어위원회 구성 제안에 동의했다.

김영호 언론개혁시민연대 공동대표(전 세계일보 편집국장)는 "신문유통원에 정부가 지원하는 것은 개별 신문사를 지원하는 게 아니라 신문이나 잡지 등 정기간행물을 구독하고 싶어도 받아볼 수 없는 독자들을 위한 것"이라면서 "정부가 초고속통신망이나 농수산물 유통망에는 지원했는데 신문 배달망 확충에는 왜 지원할 수 없느냐"고 따져 물었다.

출처 : 연합뉴스 7.2.

덧글 : 본 포스트는 해당 매체의 허락없이 퍼가서는 안됩니다.


반응형

댓글